java

06. 형 변환

dalc3154 2025. 2. 12. 15:00

형 변환이란?

하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바꾸는 것

 

자료형의 크기에 따른 형 변환 규칙

byte(1) < short(2) < int (4) < long(8) < float(4) < double(8)

실제 차지하는 메모리 값과 다르게 정수타입이 무조건 실수타입보다 작음

 

묵시적 형 변환(자동 형 변환)

작은 자료형을 크기가 큰 자료형으로 변환하는 것

묵시적 형 변환은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변환 해 준다

 

명시적 형 변환(강제 형 변환)

큰 자료형을 작은 자료형으로 변환하는 것

명시적 형 변환은 변환할 자료형을 변수명 앞에 붙여야만 한다\

 

문자 자료형의 형 변환

문자를 숫자로 변환하면 유니코드 값이 된다

문자를 숫자로 변환할 때에는 묵시적 형 변환이다

숫자를 문자로 변환할때는 명시적 형 변환을 해야한다

 

유니코드란?

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하나의 표준화된 시스템으로 표현하기 위한 문자 인코딩 방식으로,

모든 문자와 이모지는 고유한 코드 값을 가진다

UTF-8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유니코드 인코딩이다
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08. 연산자  (0) 2025.02.13
07. 입출력(IO)  (0) 2025.02.12
05. 데이터타입  (1) 2025.02.12
04. 상수  (0) 2025.02.12
03. 변수  (0) 2025.02.12